"장치기" 격구라고도 합니다. 사극에서 간혹 나옵니다.|

최고관리자 0 1,677
장치기 놀이는 오늘날 필드하키와 흡사한 놀이로 다른 용어로 격구라고 일컬어지며, 삼국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행해진 전통 민속놀이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격구가 장치기로서 일반 민중에게 널리 전해지기 이전에는 군사들의 훈련과 조정 대신들의 여가 선용을 위한 사교용 놀이로서 행해졌으며 또 질병이나 건강 관리로도 활용되었음이 기록에 나타나 있다.

격구는 중국 및 고구려, 고려, 신라의 옛 문헌에 타구(打毬), 격구(擊毬), 포구(抛毬), 장구(杖毬), 봉구(棒毬) 등 여러 이름으로 나타나 있는데 타구 또는 격구라는 표현을 많이 써 왔다. '장'이 막대기를 의미하고 '치기'가 친다에서 온 말로 보아 장치기란 명칭은 노는 방법을 그대로 본뜻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지방에 따라 공치기, 타구놀이, 장채놀이라고도 한다.

격구의 기원으로는 당태종 시대에 격구희 또는 타구라는 것이 시작되었는 데 그 발원은 파사(波斯)로 중국 서장 및 인도 제국으로 전파되었다. 우리 나라에는 당태종 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찰이 되며 격구에 관한 기록으로는 고려사를 찾을 수 있다.

"고려태조 원년 9월 갑오에 상주의 적사 아자익이 사자를 보내어 귀순하려 하매 왕이 명하여 그를 맞이하는 의식을 구정(毬庭)에서 하게 하였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고려조 원년에 왕건이 고려국을 창건하면서 궁전에서 격구를 실시할 수 있는 구정이 있었던 것으로 고려 이전에도 격구가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의 기록에서는 김유신과 김춘추가 축국을 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나는데 이를 격구와 유사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며, 또 제기차기의 일종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 조선시대 세종실록에는 "병조에 계하되 고제를 삼가 살피니 당의 격환을 곧 황제가 만든 축국의 유제이다. 그런 이유는 다 놀이로써 습무(習武)하는 까닭이다. 고려 번성시에 격구의 놀이는 사실 여기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격구를 잘하면 가히 기사를 잘하고 창도 잘한다. 이제부터 무과에서 격구로써 시험을 보아 인재를 뽑으라 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나 있다. 국방적인 필요와 무인 출신인 태조와 태종에 의해 행해진 격구놀이는 세종대에 이르러서는 격구가 무과 전시의 과목으로 채택되기에 이른다.

격구가 그 유희적 측면은 배제되고 군사훈련의 중요성은 성종 대에 더욱 강조된다. 그러나 조선의 극단적 문치주의는 무를 경시하게 됨에 따라 격구는 조선 중기 이후 귀족 사회에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한편 일반 민중에게는 놀이로서 격구가 아닌 장치기로 보급되어 전국적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민중 놀이로서의 장치기는 제 1회 전 조선 얼레공대회(1931년 2월 5일자 동아일보의 기사 내용)라는 이름으로 전국 대회로 개최된 기록 등 이후 계속 명맥을 이어 최근까지도 일부 지역에서 행해진 것으로 각 민속 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장치기는 전래되면서 산악 지대 특히 지리산 줄기인 영 호남지방에서 성행했는데, 나무꾼들이 떼지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양지 바른 곳에서 지게를 내려놓고 편을 짜 작대기로 솔방울을 굴려 가며 즐겼지 않았나 싶은데, 전남 곡성지방에서는 이 장치기를 출품하여 제5회 남도문화제 최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장치기는 그 역사적 연원으로 미루어 보아 초기에는 서울 즉 도읍지의 귀족 사회에서 행해지다가 점차 확산된 것이다. 문화재 관리국에서 조사한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충청남·북도와 경기도에서 주로 행해진 놀이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놀이를 위한 준비로서는 짝지(공채)와 짱공(공)을 준비하여야 한다.
짝지(공채) : 1미터 정도의 단단한 나무를 골라 끝이 구부러지게 하여 공을 치기 편리하게 만든다.
짱공(공) : 소나무의 옹이가 있는 부분이나 고양 나무, 박달나무와 같이 굳은 나무를 둥글게 깎아서 만들면 된다.

장소는 넓은 풀밭이나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고 길이 40∼50미터, 너비 30∼40미터 정도의 장소에 가운데에는 공이 들어갈 만한 구덩이를 하나 파놓는다.

놀이 방법 1

놀이는 두 편으로 갈라 하되 한 편을 10∼15명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네모로 사방에 구역을 만들고 가운데에 중앙선을 정한다. 축구장 같은 골문은 없고 다만 축구처럼 중앙선 가운데서 시작되어 공채로 공을 쳐서 상대방의 골라인을 많이 넘기는 편이 이기는 것이다.
 이 놀이를 시작하는 방식이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아래짱은 중앙선 가운데에 파놓은 구멍에 공을 놓고 양편이 동시에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웃짱은 공을 제3자가 위로 똑바로 던진 다음 떨어지는 공을 서로 쳐서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소래기(소래기치기)는 이긴 편이 공을 위로 던지면 양편이 한바퀴 돌면서 떨어지는 공을 쳐서 시작하는 방법이다. 놀이 방식에 따라 격문을 만들기도 하지만 그 기본 방식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놀이에도 반칙과 벌칙이 주어지는데 그 내용은 공이 몸의 일부에 닿는 것, 상대편의 공채를 몸으로 막는 행위, 상대편의 몸을 공채로 치거나 치려고 하는 행위, 상대편의 경기 활동을 몸으로 막는 것, 공을 격장의 선 밖으로 쳐내는 것, 공을 횡선 밖으로 쳐내는 것 등이다. 그리고 벌칙으로는 물레공 즉 몸을 한바퀴 돌려서 공을 치는 것, 공을 굴려주는 굴러공, 구멍공치기 등이 있다. 반칙을 되풀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놀이 방법 2

방법1과 다른 점은 골문을 만들어 골을 넣는 것이다.
심판이 경기장의 중앙에서 공을 높이 던져 놀기를 시작한다.
공을 땅매로 쳐서 상대 골에 넣는다.
시간을 전 후반 각 10분씩으로 하고, 휴식 시간을 2-3분으로 한다.
공이 선 밖으로 나가면 그 위치에서 땅매로 쳐서 보낸다.
손이나 발로 공을 차거나 던질 수 없다.
공을 놓고 칠 때는 모든 사람을 5m 이상 떨어져 있게 한다.
골에서 5m는 문지기 외에 아무도 들어가지 못한다.(공격 제한선)

놀이효과

1. 조정력, 판단력, 민첩성을 기른다.
2. 팀을 위해 결속하고 협동하는 마음을 기를 수 있다.
3. 기구 사용 능력을 높이고, 정확한 조정력을 기를 수 있다.

주의할점

1. 막대기는 잘 다듬어진 것을 사용하되 너무 길거나 짧은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2. 공채와 공에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고 규칙을 잘 지킨다.
3. 공은 부드럽고 탄력 있는 재료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mments